[육아 고민 솔루션]
때리기·밀기 등 공격적인 행동, 공감 중심 훈육법
“갑자기 친구를 밀어요…”
놀이터에서 아이가 다른 친구에게 다가갑니다.
함께 놀이를 하더니, 갑자기 손으로 친구를 퍽! 밀어버려요.
놀란 친구는 울음을 터뜨리고, 엄마는 당황해서 아이를 얼른 끌어옵니다.
“왜 그랬어? 친구를 밀면 안 되지!”
하지만 아이는 억울하다는 듯 입을 삐죽이기만 합니다.
1. 실제 상황 예시
“우리 아이는 감정이 격해지면 바로 손이 나가요. 놀다가 친구가 먼저 건드리면 확 밀어버리고, 속상하면 때리기도 해요. 아무리 말로 가르쳐도 잘 바뀌지 않고, 자꾸 그러다 보니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도 걱정돼요.”
공격적 행동 = 나쁜 아이?
그렇지 않아요.
때리기, 밀기 같은 행동은 아직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아이들이 사용하는 마지막 수단일 수 있어요.
우리는 그 행동 너머의 감정과 미숙한 조절력을 들여다봐야 해요.
2. 우리 아이는 왜 공격 행동을 보이는 걸까요?
: 공격 행동은 감정 조절 미숙의 신호
- 때리기, 밀기의 진짜 이유는?
-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해요
“싫다”, “불편하다”, “기분 나빠”라는 말이 안 되니, 몸으로 먼저 나갑니다. - 즉각적 반응을 배우지 못했어요
‘기다리기’, ‘참기’는 시간이 걸려야 습득되는 기술이에요. - 자기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구분하지 못해요
내가 화났으면 상대도 똑같이 화난다고 믿거나,
내 기분이 먼저여야 한다고 느낄 수도 있어요.
공격 행동을 단속보다 ‘공감과 조절력 강화’의 기회로 바꿔야 합니다.
3. 공감 중심 훈육의 4단계
1단계: 행동은 멈추되, 감정은 수용하기
❌ “왜 때렸어!”
✅ “지금 너 많이 화났구나.”
행동은 멈추되, 아이의 감정은 ‘틀렸다’고 단정하지 않기
✔️ 말걸기 팁:
- “그렇게 화가 났구나. 그 마음은 이해돼.”
- “친구가 먼저 장난감을 뺏었지? 속상했겠다.”
2단계: 상대방 감정을 알아차릴 수 있게 돕기
때린 순간만 기억하는 게 아니라,
그 행동이 친구에게 어떤 영향을 줬는지 알려줘야 해요.
✔️ 공감 대화 예시:
- “친구는 많이 놀랐을 것 같아. 눈물도 났지?”
- “우리가 때린 손이 친구에겐 얼마나 아팠을까?”
감정 어휘와 관점 전환을 반복적으로 제공
3단계: 감정 해소 방법을 함께 제안하기
화가 날 때 손 대신 다른 방법을 함께 연습해보는 시간이 필요해요.
✔️ 제안할 수 있는 방법:
- “화났을 땐 이 쿠션을 꼭 안아보자.”
- “엄마한테 ‘속상해요’라고 말하는 연습을 해보자.”
- “심호흡 3번 하고 다시 얘기할까?”
대체 행동을 구체적으로 연습하면 아이도 선택지를 가질 수 있어요.
4단계: 갈등 후 회복까지 연결하기
“때리면 안 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상대를 위하는 행동까지 안내해줘야 해요.
✔️ 회복 루틴 예시:
- “친구한테 미안하다고 말해볼까?”
- “그림 편지를 써보는 건 어때?”
- “다음에 만나면 안아주기 약속하자~”
아이가 ‘실수해도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는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것, 그게 진짜 훈육이에요.
4. 엄마표 공감 놀이: 감정 + 대체 행동 익히기
① 감정 얼굴 카드 놀이
- 다양한 표정 카드를 보고 감정 이름 말해보기
- “이 얼굴은 어떤 기분일까?”
- “네가 이런 기분일 땐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② 손인형 역할극
- 예시: 곰돌이가 친구에게 화났을 때
- 상황극 → 잘못된 반응(때리기) → 대체 행동 → 회복하기
상황을 놀이로 안전하게 반복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에요.
📎 공감 훈육 4단계 요약
1단계 | 감정 수용 | “화났구나. 속상했지.” |
2단계 | 상대 감정 공감 | “친구는 놀라고 아팠을 거야.” |
3단계 | 대체 행동 연습 | “쿠션 꼭 안기 vs 말로 하기” |
4단계 | 회복 훈련 | “미안해 편지 써볼까?” |
때리기, 밀기 같은 행동은
아이의 감정 조절 능력이 아직 자라나는 중이라는 신호입니다.
우리가 아이의 감정을 무조건 억누르기보다
“너의 감정을 이해해. 그런데 우리는 다르게 표현할 수 있어.”라고
안전한 울타리를 만들어 줄 때,
그 아이는 점점 공감하고 조절할 줄 아는 아이로 자라납니다.
실수도 괜찮고, 회복도 가능하다는 걸 알려주는 것.
그게 아이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훈육이에요.
다음 글 예고:
“말 안 듣는 아이, 감정 연결 훈육 vs 지시 중심 훈육”
'아기와 뭐하지? > 육아 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 고민 솔루션] 혼자 놀기 어려운 아이, 자율 놀이력 키우는 3단계 (4) | 2025.06.30 |
---|---|
[육아 고민 솔루션] 분리불안이 심한 아이, 안심시키는 이별 루틴 만들기 (1) | 2025.06.23 |
[육아 고민 솔루션] 낯가림 심한 아이, 사회성 키우는 실내 놀이법 (6) | 2025.06.16 |
[육아 고민 솔루션] 고집 센 아이, 자기주장을 존중하면서 훈육하는 법 (1) | 2025.06.10 |
[육아 고민 솔루션] 장난감 안 치우는 아이, 놀이처럼 정리 습관 들이기 (1) | 2025.06.03 |
댓글